미국은 2023년 2월 28일 4분기 실질 GDP를 발표했는데, 여러 경제적 동력의 뒷받침을 받으며 예상보다 강한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발표된 미국의 4분기 실질 GDP와 결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질 GDP란?
실질 GDP는 한 국가의 경제적 부가 생산되고 있는 가치의 총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명목 GDP가 단순히 수치상으로 기록된 경제 규모를 말한다면, 실질 GDP는 물가 변화의 영향을 제거하여 실제로 생산된 부의 양을 측정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변화하는 물가의 영향을 배제하고, 실제 양적인 경제 성장을 판단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미국 4분기 실질 GDP 성장률 발표
2024년 2월 28일 발표된 미국의 2023년 4분기 미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연율화 기준으로 3.2%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초기 예상치였던 3.3%에서 소폭 조정된 수치입니다.
3분기 GDP 성장률이 4.9%였던 것에 비해 둔화했지만, 여전히 강한 경제 활동을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미국 4분기 실질 GDP 성장률 주요 내용
개인 소비가 여전히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는 가운데, 이는 미국의 4분기 실제 성장 및 경제 전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재고투자의 감소와 순수출의 증가 같은 변동성이 큰 요소들이 성장률 상승에 상당한 기여를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실질 GDP와 명목 GDP의 차이점
실질 GDP : 각 해의 생산량에 당해연도의 가격을 곱해 계산한 GDP입니다.
명목 GDP : 각 해의 생산량에 기준연도 또는 고정된 가격(서로 동일한 해의 가격을 사용하여)을 곱해서 산출한 GDP로, 물가 변동의 영향을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2023년 4분기 미국 경제의 성장률 분석을 통해 볼 때, 뚜렷한 둔화 신호보다는 오히려 안정적인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음이 드러납니다. 이는 지금까지의 긴축정책과 시장의 반응이 어느 정도 균형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앞으로도 경제 지표에 귀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 글은 개인의 학습을 위해서 작성된 글이므로, 투자의 조언이나 추천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경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의 차이 (0) | 2024.02.29 |
---|---|
미국 EIA 원유 재고 데이터 최근 발표 (0) | 2024.02.29 |
미국 4분기 PCE(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 발표 (0) | 2024.02.29 |
연준 FOMC의사록 발표 (0) | 2024.02.28 |
옵션 만기일이란? 변동성의 이유 (0) | 202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