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읽기

연준의 하드랜딩, 소프트랜딩, 노랜딩 이란?

by 경제읽는개발자 2024. 2. 20.

최근 연준 인사들의 인터뷰에서 소프트랜딩과 노랜딩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는데요. 오늘은 하드랜딩. 소프트랜딩, 노랜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하드랜딩, 소프트랜딩, 노랜딩

연준의 랜딩(landing)이란?

하드랜딩, 소프트랜딩, 노랜딩은 주로 경제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 항공 우주 분야의 용어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여기서 '착륙(landing)'은 경제가 특정한 경제 사이클의 정점에서 하락 추세로 전환하는 과정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연방준비제도(연준) 등 중앙은행들은 이러한 과정에서 금리 조정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조절하고 경기 침체를 막으려 노력합니다. 오늘날 이 용어들은 글로벌 경제와 주식 시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연준의 정책 결정에 대한 전망을 표현하는데 자주 사용됩니다.

하드랜딩 (Hard Landing)

경제가 너무 급격하게 냉각되어 경기 침체나 심각한 둔화가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연준이 금리를 너무 빠르게 또는 너무 많이 인상하여 경제가 극심한 하락세를 겪을 때 이러한 용어가 사용됩니다. 결과적으로 높은 실업률, 기업 파산 증가, 급격한 소비 감소와 같은 부정적인 경제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랜딩 (Soft Landing)

이는 금리 인상이 경제의 과열을 조절하고, 인플레이션을 안정시키면서도 경제 성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이 이상적인 상황입니다. 연준은 주로 이러한 결과를 얻기 위해 정책을 조정하고자 합니다.

 

노랜딩(No Landing)

노랜딩은 금리가 인상되어도 경제가 침체나 정체 상황에 빠지지 않고 상당 기간 동안 호황을 누리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예상보다 경제가 안정적일 때 나타나는 현상이며, 미국의 고용 지표나 소매판매 수치가 긍정적인 결과를 보일 때 관측됩니다.

 

미국 경제의 최근 상황과 전망

미국 경제는 펜데믹 이후 호황을 보였으며, 현재 경기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연착륙이나 경창륙과 같은 전통적 시나리오 외에도 최근 노랜딩 시나리오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지난 1월 비농업부문 고용이 시장의 예상치를 상회하였고, 소매판매가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점에서 기인합니다.

노랜딩 시나리오가 실현될 경우, 연준의 금리 인상 정책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안정적인 성장을 계속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은 통상적인 경제 사이클과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으며, 연준이 긴축 정책을 지속할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만약 노랜딩 시나리오가 진행된다면, 이는 연준이 금리를 더 오래 동안 높은 수준에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당초 예상치 못한 고용시장의 강세와 소비 심리 회복은 연준의 긴축 정책에도 경제가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각각의 경제 착륙 시나리오는 현재와 미래의 경제 상황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연준의 통화정책은 금리, 투자 그리고 일자리 시장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용어들을 통해 우리는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고 개인의 경제 활동에 대한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위 글은 개인의 학습을 위한 글이므로, 투자의 조언이나 추천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