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읽기

행동주의펀드란? 특징과 논란, 최근 사례

by 경제읽는개발자 2024. 4. 27.

최근 글로벌 행동주의펀드의 기업 개입 건수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증 주주행동주의가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동주의펀드랑 무엇인지 알아보고, 특징과 최근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행동주의펀드란?

행동주의펀드란?

행동주의펀드는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주주가치 제고를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이들은 기업의 경영진이나 이사회에 압력을 가해 경영 전략을 변화시키거나 경영진 교체를 요구, 배당 확대 요구, 자사주 매입 요구를 하는 등의 활동을 합니다.

 

행동주의펀드의 특징

기업의 경영 전략, 지배구조, 자본 배분 등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변화를 요구합니다. 주주가치 제고를 최우선 목표로 삼으며, 단기적인 주가 상승에 초점을 맞추기도 합니다. 국내에서도 최근 들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1. 적극적 주주활동 : 행동주의펀드는 기업의 경영에 직접 개입하여 변화를 요구합니다. 이를 통해 주주가치 제고를 추구합니다.
  2. 단기 실적 중시 : 행동주의펀드는 단기적인 주가 상승과 배당 확대에 초첨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기업지배구조 개선 요구 : 행동주의펀드는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을 요구하며, 이사회 구성 변화 등을 요구합니다.
  4. 공격적 투자 전략 : 행동주의펀드는 기업에 대한 지분을 확대하고 적극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하는 등 공격적인 투자 전략을 구사합니다.

 

행동주의펀드에 대한 논의

행동주의펀드의 활동이 기업 가치 제고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습니다.

단기적인 주가 상승에 초점을 맞추는 경우 기업의 장기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따라서 행동주의펀드의 활동이 기업과 주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엄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최근 행동주의펀드의 사례

1. 한진그룹 사례

KCGI(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가 한진그룹 계열사에 대한 지분을 확대하고 "신뢰회복 프로그램"을 제안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 주가가 45% 상승하는 등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했습니다.

2. SM엔터테인먼트 사례

카카오뱅크는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에서 행동주의펀드의 역할을 소개했습니다. 

행동주의펀드들이 적극적으로 경영에 개입하여 주식 가격 변동과 주주권 행사를 통해 경영 전략 및 경영진 교체를 요구했습니다.

 

종합적으로 행동주의펀드는 기업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주주가치 제고를 추구하는 펀드입니다. 국내에서도 최근 이러한 펀드들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행동주의펀드의 활동이 기업과 주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 글은 개인의 학습을 위해서 작성된 것으로, 투자의 조언이나 추천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